교리
Home > 수행/산행 > 교리
제목 견혹과 수혹
등록일 2017/07/31 조회수 1258
작성자 낙천원 주변에알리기 트위터 페이스북

  견혹(見惑)과 수혹(修惑) 둘다 번뇌를 가리키는말이다. 먼저 견혹이란, 지식에 따라 분별하는 것으로 특히 사상적이고 관념적인 것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잘못된 번뇌를 말한다. 이것을 때로는 이혹(理惑)이라고도 하는데 관념적이고 지적인 번뇌는 그 도리를 알면 단번에 해결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비유를 들면, 지구는 마치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지만 옛날에는 지구를 평면이라고 생각하였다. 바로 이 경우가 견혹에 해당한다. 지금은 과학적인 증명이 되어서 지구가 평면이라고 하면 잘못인 줄 다 안다.   이와 같이 알게 되면 자연히 해결되어 없어지는 번뇌 , 이를 일컬어서 견혹이라 고 한다.

  그 다음 수혹(修惑)이란, 사혹(思惑)이라고도 하는데 분별의 잘못으로 일어나는 번뇌가 아니라, 훈습적이고 감정상의 미혹이기 때문에 떨쳐 버리기가 오히려 어려운 것이다. 예를 들면 한밤중에 무덤 옆을 지나갈 때, 사실은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가 다 알고 있다. 그렇지만 마음 한구석에서는 어쩐지 불안하고 무섭기 마련이다. 즉 지식으로는 납득을 하면서도 감정으로는 따라갈 수밖에 없는, 없애기 어려운 생각, 이것을 수혹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 수혹은 올바른 수행에 의해서만 닦아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견혹은 잘 드는 칼만 있으면 싹둑 자를 수 가 있지만 수혹은 무딘 칼로 자르는 것과 같아서 자르기가 무척 힘이 든다는 것이다.

   앞의 견혹이 후천적인 번뇌라면 수혹은 선천적인 번뇌이고, 또한 견혹은 큰 돌이기 때문에 금방 눈에 띄어서 빼낼수가 있지만 수혹은 아주  작은 모래와 같아서 골라 내기가 더욱 어렵다고나 할까? 즉 이론적이고 사상적인 문제는 이치만 알면 바로 해결되지만, 훈습적이고 감정적인 문제는 이치나 도리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없애기 힘들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탐욕. 성냄. 어리석음(三毒)이 있는데 이것은 수행에 의하지 않고서는 없앨 수가 없다. 따라서 이들 견혹과 수혹이 다 끊어진 상태를 열반(涅槃)이라고 한다.

목록으로
  목록이 없습니다.
* 광고, 비방 및 통신 예절에 어긋나는 글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등록